선생님들이 말하는 학생들의 문해력 실태 보실까요? <br /> <br />"두발 자유화 토론을 하는데, 두발이 두 다리인 줄 알았다네요."라는 선생님의 말이 있었고요, <br /> <br />수업 중 '사건의 시발점'이라고 했더니 "왜 선생님이 욕을 하냐?"라는 불만의 소리가 나왔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또 '이부자리'를 별자리 중 하나로 아는 학생이 있는가 하면 '족보'를 '족발보쌈세트'의 줄임말로 이해한 경우도 있다고 하네요. <br /> <br />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한글날을 앞두고 전국 5천8백 여명의 초·중·고 선생님을 대상으로 실시한 '학생 문해력 실태 교원 인식 조사'에서 나온 실제 사례들인데요, <br /> <br />이처럼 황당했거나 난감했던 사례들과 함께 교원의 91.8퍼센트가 '학생의 문해력이 과거에 비해 저하됐다'고 답했습니다. <br /> <br />선생님들은 학생들의 문해력 개선을 위해 독서활동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했고요, 이어서 어휘 교육 강화, 디지털매체 활용 습관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일각에선 아이들의 본보기가 돼야 할 어른들의 태도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신지영 / 고려대 국문과 교수 : 디지털 매체 많이 봐서 너희들 문해력 떨어진다, 이렇게 얘기를 하는 어른들을 한번 볼까요? 어른들의 독서율을 보면 우리나라 성인의 독서율이 정말 처참합니다. <br /> <br />1년에 한 권도 책을 읽지 않는 성인이 거의 60%에 육박한다는 거예요. 애들한테는 핸드폰 좀 그만 봐, 이렇게 하면서 어른들은 어떤가요? 아이들은 말로 이렇게 배우지 않고요. 행동으로 보고 배우거든요. 어른들이 책을 읽어야죠] <br /> <br />정말 따끔한 일침이네요. <br /> <br />내일이 578돌 한글날인데요, 세종대왕께서 안타까워하지 않도록 영상보다는 책을 가까이 하고, <br /> <br />바른 우리말 사용을 위해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모두 함께 노력해야겠습니다. <br /> <br />자막뉴스ㅣ이미영, 이도형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1008152341458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